정맥주사는 병원 현장에서 가장 자주 시행되는 간호처치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액을 꽂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과정에는 다양한 부작용과 위험이 숨어있습니다.
특히 신규간호사라면 반드시 익혀야 할 정맥주사 부작용과 간호중재 요령을 이 글에서 정리해 드립니다.
< 정맥주사 부작용이란? >
정맥주사(IV)는 약물이나 수액을 혈관 내로 직접 주입하는 방식으로,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삽입 부위, 약물 종류, 환자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정맥주사 부작용 종류 >
아래는 신규간호사가 실무에서 꼭 알고 있어야 할 대표적인 IV 관련 부작용 5가지입니다.
① 정맥염 (Phlebitis)
- 원인: 카테터 자극, 감염, 고삼투압 약물
- 증상: 삽입 부위 발적, 통증, 부종, 열감
- 간호중재:
- 즉시 주사 중단 및 부위 변경
- 온찜질 적용
- 감염 의심 시 의사 보고 및 배양 검사 준비
② 침윤 (Infiltration)
- 원인: 카테터가 혈관 밖으로 빠져 수액이 조직으로 새는 경우
- 증상: 부종, 차가움, 피부 창백, 통증 없음 or 불편감
- 간호중재:
- 즉시 주사 중단, 부위 압박 or 냉찜질
- 새 부위로 재삽입
- 문서에 자세히 기록
③ 혈종 (Hematoma)
- 원인: 삽입 실패 후 출혈, 카테터 제거 시 압박 부족
- 증상: 멍, 통증, 부종
- 간호중재:
- 주사 직후 2~3분간 충분한 압박
- 냉찜질로 출혈 억제
- 예방을 위해 천천히 바늘 제거
④ 공기색전 (Air Embolism)
- 원인: 수액 세트 연결부 불완전, 라인 개방 후 공기 유입
- 증상: 갑작스런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 간호중재:
- 즉시 주입 중단
- 트렌델렌버그 자세(왼쪽 옆으로 눕힘) 유지
- 응급보고 및 산소 투여
⑤ 패혈증 (Sepsis)
- 원인: 무균술 미준수로 인해 혈류 감염 발생
- 증상: 발열, 오한, 의식저하, 전신염증 반응
- 간호중재:
- 즉시 혈액배양 검사 준비
- 항생제 투여 시작 (의사 지시)
- 감염원 제거 (IV 제거 포함)
** 간호중재 요령 한눈에 보기 **
부작용 | 즉각 중재 | 보고 필요 | 특이사항 |
정맥염 | 중단+온찜질 | O | 감염 여부 확인 |
침윤 | 중단+냉찜질 | △ | 고삼투압 약물 주의 |
혈종 | 압박+냉찜질 | X | 삽입 후 압박 중요 |
공기색전 | 중단+트렌델렌버그 | O | 산소필요, 응급상황 |
패혈증 | 배양+항생제 | O | 무균술 중요 |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실전 팁 >
- 삽입 후 활력징후 관찰은 기본!
- 특히 항암제, 고삼투압 약물은 10~15분 집중 관찰
- 수액 연결 시 공기 제거 필수
- 라인에 공기방울이 있으면 그대로 정맥에 들어갈 수 있음
- 문서기록에 증상과 간호중재 상세히 작성
- 나중에 의료사고 방지에 중요
- 무균술은 절대 타협하지 말 것
- 알코올솜 닦기 생략은 감염 직결
정맥주사는 자주 하는 간호기술이지만,
그만큼 익숙함 속에서 놓치기 쉬운 위험이 숨어 있습니다.
특히 정맥염, 침윤, 공기색전 등은 빠른 대처가 생명을 지킬 수도 있습니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심정맥관(CVC) 관리 및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핵심 포인트 (0) | 2025.05.07 |
---|---|
혈당 체크와 인슐린 투약 실수 줄이기 위한 실무 팁 (1) | 2025.05.06 |
산소요법 종류와 적용 시 주의사항 (1) | 2025.05.05 |
신규간호사 IV(정맥주사) 성공률 높이는 실전 스킬 (0) | 2025.05.02 |
수혈 간호 완전 정복: 신규 간호사가 알아야 할 수혈 절차 (0) | 2025.05.01 |
Foley catheter 삽입과 관리 요령 (0) | 2025.04.30 |
성인간호 실습을 준비하는 간호학생을 위한 팁과 전략 (0) | 2025.04.30 |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는 성인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 접근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