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 간호란 환자의 혈액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안전하게 수행하고 감시하는 간호 중재입니다. 신규간호사에게 수혈은 익숙하지 않지만, 병동이나 응급실에서는 매우 자주 시행되는 기본 간호 중 하나입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간호, 신규간호사, 기본 간호
1. 수혈 전 준비사항: 사전 점검이 생명이다
수혈 전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정보 확인과 혈액제제 점검입니다.
다음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환자 이름, 등록번호, 혈액형 (수혈카드, 의무기록 대조)
- 혈액제제 종류, 유효기간, 이상 여부
- 의사의 수혈 처방과 일치하는지 확인
- 알레르기나 수혈 부작용 이력 유무
또한 혈액이 도착하면 30분 내 수혈 시작이 원칙입니다. 냉장 보관 후 오래 방치된 혈액은 부작용 가능성이 커집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전 준비, 혈액 확인, 혈액제제 점검
2. 수혈 절차: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표준 과정
① 수혈 전 준비
- 손위생 및 필요 시 보호구 착용
- 환자에게 수혈 설명 및 동의서 확인
- 활력징후 측정 (기준점 비교용)
② 수혈 시작
- 0.9% 생리식염수와 연결된 Y-튜브 사용
- 혈액과 수혈 튜브 연결 → 공기 제거
- 시작 속도: 처음 15분은 천천히 (20ml/h 이하)
- 환자 상태 관찰: 발열, 발진, 호흡곤란, 오한 등 확인
③ 수혈 중 모니터링
- 수혈 시작 10~15분 내 부작용이 가장 흔함 → 집중 관찰
- 이상 소견 발생 시 즉시 중단하고 의사 보고
- 활력징후는 다음 기준으로 측정
- 시작 전
- 시작 15분 후
- 종료 직후
- 수혈 중 30분 or 1시간마
핵심 키워드: 수혈 절차, 수혈 시작, 활력징후 측정
** 수혈 중 흔한 이상반응과 대응 방법 **
이상반응 | 증상 | 대응 |
발열/오한 | 체온 상승, 떨림 | 수혈 즉시 중단, 의사 보고, 해열제 투여 |
알레르기 | 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 | 수혈 중단, 항히스타민제 투여, 산소 투여 |
용혈 반응 | 요통, 적갈색 소변 | 즉각 중단, 응급처치, Lab test 재확인 |
신규간호사일수록 가장 중요한 건, 이상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보고"하는 것입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부작용, 수혈 이상반응, 응급 간호
3. 수혈 후 간호: 마무리도 철저하게
- 수혈 종료 후 튜브 라인 생리식염수로 세척
- 환자 활력징후 재측정 및 기록
- 남은 혈액제제는 폐기 규정에 따라 처리
- 수혈 후 1시간~24시간 내 지연반응 여부 확인
신규간호사 Tip:
수혈 후에도 환자의 소변색, 피부 상태, 호흡 상태를 관찰하세요. 드물게 지연성 용혈 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후 간호, 간호기록, 지연성 반응
4. 실전 꿀팁 모음: 신규간호사가 자주 하는 실수 방지
- 수혈 시작 전에 활력징후를 기록하지 않음 → 반드시 기록!
- 혈액제제 이름만 확인하고 수혈 시작 → 환자 정보, 혈액형 모두 대조해야 안전
- 수혈 시작 후 바로 자리를 비움 → 초반 15분은 옆에서 집중 관찰 필수
핵심 키워드: 신규간호사 실수, 수혈 팁, 실무 중심 간호
수혈 간호는 정확한 절차와 꼼꼼한 관찰이 핵심입니다. 신규간호사라도 매뉴얼을 따르고 환자 상태를 면밀히 살피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어요.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당 체크와 인슐린 투약 실수 줄이기 위한 실무 팁 (1) | 2025.05.06 |
---|---|
산소요법 종류와 적용 시 주의사항 (1) | 2025.05.05 |
정맥주사 부작용 종류와 간호중재 정리 (0) | 2025.05.03 |
신규간호사 IV(정맥주사) 성공률 높이는 실전 스킬 (0) | 2025.05.02 |
Foley catheter 삽입과 관리 요령 (0) | 2025.04.30 |
성인간호 실습을 준비하는 간호학생을 위한 팁과 전략 (0) | 2025.04.30 |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는 성인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 접근 (1) | 2025.04.29 |
의식저하 환자의 간호: 기본 간호와 중재방법 (1)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