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수혈 간호 완전 정복: 신규 간호사가 알아야 할 수혈 절차

by winsome-smile 2025. 5. 1.

수혈 간호란 환자의 혈액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혈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안전하게 수행하고 감시하는 간호 중재입니다. 신규간호사에게 수혈은 익숙하지 않지만, 병동이나 응급실에서는 매우 자주 시행되는 기본 간호 중 하나입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간호, 신규간호사, 기본 간호

 

1. 수혈 전 준비사항: 사전 점검이 생명이다

수혈 전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정보 확인과 혈액제제 점검입니다.
다음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환자 이름, 등록번호, 혈액형 (수혈카드, 의무기록 대조)
  • 혈액제제 종류, 유효기간, 이상 여부
  • 의사의 수혈 처방과 일치하는지 확인
  • 알레르기나 수혈 부작용 이력 유무

또한 혈액이 도착하면 30분 내 수혈 시작이 원칙입니다. 냉장 보관 후 오래 방치된 혈액은 부작용 가능성이 커집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전 준비, 혈액 확인, 혈액제제 점검

2. 수혈 절차: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표준 과정

① 수혈 전 준비

  • 손위생 및 필요 시 보호구 착용
  • 환자에게 수혈 설명 및 동의서 확인
  • 활력징후 측정 (기준점 비교용)

② 수혈 시작

  • 0.9% 생리식염수와 연결된 Y-튜브 사용
  • 혈액과 수혈 튜브 연결 → 공기 제거
  • 시작 속도: 처음 15분은 천천히 (20ml/h 이하)
  • 환자 상태 관찰: 발열, 발진, 호흡곤란, 오한 등 확인

③ 수혈 중 모니터링

  • 수혈 시작 10~15분 내 부작용이 가장 흔함 → 집중 관찰
  • 이상 소견 발생 시 즉시 중단하고 의사 보고
  • 활력징후는 다음 기준으로 측정
    • 시작 전
    • 시작 15분 후
    • 종료 직후
    • 수혈 중 30분 or 1시간마 

핵심 키워드: 수혈 절차, 수혈 시작, 활력징후 측정

 

 

** 수혈 중 흔한 이상반응과 대응 방법 **

이상반응 증상 대응
발열/오한 체온 상승, 떨림 수혈 즉시 중단, 의사 보고, 해열제 투여
알레르기 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 수혈 중단, 항히스타민제 투여, 산소 투여
용혈 반응 요통, 적갈색 소변 즉각 중단, 응급처치, Lab test 재확인

신규간호사일수록 가장 중요한 건, 이상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보고"하는 것입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부작용, 수혈 이상반응, 응급 간호

3. 수혈 후 간호: 마무리도 철저하게

  • 수혈 종료 후 튜브 라인 생리식염수로 세척
  • 환자 활력징후 재측정 및 기록
  • 남은 혈액제제는 폐기 규정에 따라 처리
  • 수혈 후 1시간~24시간 내 지연반응 여부 확인

신규간호사 Tip:
수혈 후에도 환자의 소변색, 피부 상태, 호흡 상태를 관찰하세요. 드물게 지연성 용혈 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핵심 키워드: 수혈 후 간호, 간호기록, 지연성 반응

 

4. 실전 꿀팁 모음: 신규간호사가 자주 하는 실수 방지

  • 수혈 시작 전에 활력징후를 기록하지 않음 → 반드시 기록!
  • 혈액제제 이름만 확인하고 수혈 시작 → 환자 정보, 혈액형 모두 대조해야 안전
  • 수혈 시작 후 바로 자리를 비움 → 초반 15분은 옆에서 집중 관찰 필수

핵심 키워드: 신규간호사 실수, 수혈 팁, 실무 중심 간호

 

 

수혈 간호는 정확한 절차와 꼼꼼한 관찰이 핵심입니다. 신규간호사라도 매뉴얼을 따르고 환자 상태를 면밀히 살피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어요.

 

수혈 간호 완전 정복: 신규 간호사가 알아야 할 수혈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