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중심정맥관(CVC) 관리 및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핵심 포인트

by winsome-smile 2025. 5. 7.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중증 환자나 장기 치료 환자에게 정맥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그러나 부적절한 관리 시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LABSI) 등 중대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와 간호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CVC 관리의 기본 개념부터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포인트, 실수 줄이기 위한 체크리스트까지 다루어,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1. 중심정맥관의 기본 이해

중심정맥관(CVC) 관리 및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핵심 포인트

  • 삽입 부위: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 종류: Non-tunneled CVC, Tunneled CVC, PICC line, Implantable port 등
  • 사용 목적: 장기적인 약물 투여, 고삼투압 수액, 중심정맥압 측정 등

2. 중심정맥관 관리의 기본 원칙

① 매일 확인해야 할 사항

  • 삽입 부위의 발적, 분비물, 통증, 부종 여부
  • 드레싱 상태 확인 (습기, 풀림, 오염 여부)
  • 삽입 일자 확인 및 필요 시 교체 요청
  • 루멘 사용 후 밀봉(heparin flush or saline lock) 여부

② 드레싱 교환 요령

    • 무균 술기(strict aseptic technique) 필수
    • 투명 드레싱은 7일마다, 거즈 드레싱은 48시간마다 교체
    • 교환 전 반드시 손 위생 → 멸균 장갑 착용
    • Chlorhexidine 사용 시 30초 이상 문질러 닦고, 완전 건조 (습기=세균 침입 경로)

3. 감염 예방을 위한 실무 간호 포인트

  • 위생은 모든 절차 전후 철저히
  • 항균 클로르헥시딘을 포함한 피부 소독
  • 루멘 사용 시마다 scrub the hub (마개 소독) 15초 이상
  • 주입 라인과 연결 부위는 24시간마다 점검
  • 불필요한 카테터는 즉시 제거 요청
  • 필요 시에만 포트 개방 (닫을 땐 클램프 정확히!)
  • 고정 상태 점검: 움직임 적고 당김 없는지 확
  • 수액 교환 주기 준수: 지질성분 포함 시 24시간 이내(예: TPN) 교환

4. 실수를 줄이기 위한 체크리스트√

- 매일 체크

  • 드레싱 상태 양호한가?
  • 삽입 부위에 감염 의심 소견은 없는가?
  • CVC 삽입 일자는 적절한가? 교체 주기 체크
  • 필요 없는 루멘은 폐쇄되었는가?

- 주입 시 루틴 점검

  • 연결 전/후 마개 소독 실시
  • 수액 튜브 교체 주기 확인 (일반 수액: 96시간 이내)
  • 루멘 사용 후 플러시 시행 여부 확인

** 신규 간호사를 위한 팁 **

  • PICC line 관리법은 일반 CVC와 유사하지만 팔 움직임으로 인한 문제(말림, 누출)에 유의
  • Dressing 교체는 처음엔 선배와 함께 진행해보며 무균 술기 숙달 필요
  • 감염 징후는 피부뿐 아니라 발열, CRP 상승 등 전신적 지표까지 함께 고려
  • CVC 사용 환자는 IV 장비, flush, 드레싱 키트를 항상 정비해두면 시간 절약에 도움

 

중심정맥관은 환자의 생명줄이 될 수 있는 만큼, 그 관리는 실수 없이 철저해야 합니다. 감염 예방은 반복되는 작은 실천의 누적에서 시작됩니다. 오늘도 한 명의 간호사로서, 한 명의 환자에게 더 안전한 간호를 제공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