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동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주요 약물의 간호 포인트까지 한눈에 정리
신규간호사로 병동에 첫 발을 내딛는 순간, 가장 자주 마주하게 되는 업무 중 하나는 약물 투여입니다. 약물의 작용기전과 용법, 부작용은 물론, 환자 모니터링까지 포함한 정확한 투여 간호는 간호사의 기본 역량이자 환자 안전의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이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약물 10가지를 선별하여, 약물학적 기전, 간호중재, 투약 시 주의사항을 중점적으로 설명합니다.
1. Furosemide (푸로세미드, Lasix®) – 루프 이뇨제
- 적응증: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고혈압, 신증후군, 급성 부종
- 기전: 헨레고리 상행각에서 Na⁺, K⁺, Cl⁻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강력한 이뇨 유도
- 간호중재:
- 투약 전 후 체중, 혈압, 소변량, 전해질(Na⁺, K⁺) 확인
-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및 탈수 모니터링
- 정맥주사 시 느린 속도 유지 (급속 주입 시 이명, 청력 손상 가능)
2. Digoxin (디곡신) – 강심제
- 적응증: 심방세동, 울혈성 심부전
- 기전: 심근 Na⁺/K⁺-ATPase 억제를 통해 Ca²⁺ 농도 증가 → 수축력 향상
- 간호중재:
- 서맥 유발 → 투약 전 심박수 확인 (60회/min 미만 시 보류)
- 혈중 농도 모니터링 (0.8~2.0 ng/mL)
- 디곡신 독성 증상 관찰: 오심, 시야 흐림, 서맥
3. Heparin (헤파린) – 항응고제
- 적응증: 심재성 정맥혈전증(DVT), 폐색전증(PE), 혈전 예방
- 기전: 안티트롬빈 III 활성화 → 트롬빈, 팩터 Xa 억제 → 혈액응고 방지
- 간호중재:
- PT/aPTT 검사로 치료 범위 확인
- 주사 부위의 출혈, 멍, 혈뇨/혈변 등 출혈 징후 모니터링
- 프로타민 설페이트: 과다 투여 시 해독제
4. Vancomycin (반코마이신) – 항생제 (글라이코펩타이드계)
- 적응증: MRSA, 중증 그람양성균 감염
- 기전: 세균 세포벽 합성 억제
- 간호중재:
- 혈중농도(TDM) 필요 (Peak, Trough)
- Red Man Syndrome 예방 위해 최소 1시간 이상 정맥 주입
- 신기능, 청력 손상 모니터링
5. Insulin (인슐린) – 혈당 조절 호르몬
- 적응증: 제1형/제2형 당뇨병, 고혈당 응급상황
- 기전: 세포의 당 흡수를 촉진하여 혈당 강하
- 간호중재:
- 투약 전후 혈당 측정
- 속효성(SC, 정맥), 지속형, premix 제형 구분
- 저혈당 증상(발한, 혼미) 즉각 대응 준비
- 식사 타이밍 확인
6. Morphine (모르핀) – 마약성 진통제
- 적응증: 중증 통증, 급성 심근경색, 호흡곤란 완화
- 기전: 중추신경계 μ-opioid 수용체에 작용 → 통증 조절
- 간호중재:
- 투약 전 호흡수, 의식수준(LOC) 확인 → 호흡억제, 의식저하 주의
- 진통효과 평가 및 마약류 관리 규정 준수
- 변비, 오심 예방 위한 병행 간호 필요
7. Atropine (아트로핀) – 항콜린성 응급약물
- 적응증: 서맥, 기관지 분비억제, 해독제(유기인 중독)
- 기전: 무스카린 수용체 차단 → 부교감신경 억제 → 심박수 증가
- 간호중재:
- 심전도(EKG) 모니터링 필수
- 구강건조, 시야 흐림 등 항콜린성 부작용 교육
- 응급상황 대응 시 우선 투여약물로 숙지 필요
8. Potassium Chloride (염화칼륨, KCl) – 전해질 보충제
- 적응증: 저칼륨혈증 교정
- 주의사항:
- 절대 IV bolus 금지 (심정지 위험)
- 희석 후 IV로 천천히 투여 (최대 10mEq/hr)
- 간호중재:
- 심전도(EKG) 변화 관찰
- 통증, 정맥염 여부 확인
9. Ceftriaxone (세프트리악손) – 광범위 항생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 적응증: 폐렴, 패혈증, 요로감염 등
- 기전: 세균 세포벽 합성 억제
- 간호중재:
- 항생제 내성 및 과민반응 이력 확인
- 칼슘 함유 수액과의 혼합 금지 (침전 발생 위험)
- 주사 부위 통증 완화 위한 냉찜질 고려
10. Acetaminophen (아세트아미노펜) – 해열·진통제
- 적응증: 경증~중등도 통증, 발열
- 기전: 중추 COX 억제를 통한 통증, 체온 조절
- 간호중재:
- 간기능(AST/ALT) 이상 유무 확인
- 일일 최대 용량 4g 이하 유지
- 중복 약물(복합제)에 주의
약물은 ‘지식’보다 ‘판단’이 우선이다.
신규간호사 시기에 약물은 익숙하지 않아 불안할 수 있지만,
기초 지식 + 임상 판단 + 간호중재만 갖춘다면 큰 실수 없이도 충분히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 병동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약물 위주로 학습하세요
- 투약 전후 V/S, 증상 변화, 환자 반응을 관찰하세요
- 약물 간 상호작용, 희석 방법, 금기사항은 반드시 확인하세요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약오류 예방하기: 신규간호사를 위한 실전 약물 관리법 (0) | 2025.05.17 |
---|---|
입원 환자 초기 사정 시 빠뜨리기 쉬운 항목 (1) | 2025.05.15 |
신규간호사의 감염관리 기본: PPE 착용법과 감염 예방 수칙 (0) | 2025.05.14 |
신규간호사를 위한 타과 전화 응대 요령!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보세요. (1) | 2025.05.13 |
첫 병동 근무, 교대 근무 루틴 잡는 팁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실전 생존 가이드 (4) | 2025.05.11 |
신규간호사를 위한 인수인계 잘하는 법 – 실전 예시로 이해하기 쉽게! (2) | 2025.05.10 |
수액 속도 계산 쉽게 하는 공식과 팁 – 신규간호사를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05.08 |
중심정맥관(CVC) 관리 및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핵심 포인트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