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116

말초 vs 중심정맥관, 신규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차이 한눈에 정리! 병동에서 근무하다 보면 “IV라인 잡아주세요”라는 말을 하루에도 몇 번씩 듣게 되죠.하지만 ‘이게 말초정맥관인지, 중심정맥관인지’, 그리고 각각 어떤 간호가 필요한지 헷갈리는 신규간호사들도 많습니다.반드시 알아야 할 말초정맥관과 중심정맥관의 차이점, 그리고 실제 임상에서의 관리 포인트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1. 말초정맥관(Peripheral Venous Catheter, PIVC) 이란?1) 정의팔, 손, 발 등 말초부위의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일반적으로 수액, 약물 투여, 일시적 혈관 확보에 사용, 가장 흔히 쓰이는 정맥관.쉽게 말해, 우리가 흔히 ‘IV 잡는다’고 하는 게 바로 말초정맥관입니다.2) 삽입 부위손등(dorsal hand vein)팔꿈치 안쪽(antecubital vein)손목 부위.. 2025. 10. 12.
신규간호사 필독|화상환자 소독·드레싱·감염관리까지 한눈에 정리! 화상 환자는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감염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특히 입원 초기에는 체액 손실, 통증 조절, 상처 관리가 동시에 필요하기 때문에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합니다.신규간호사들이 꼭 알아야 할 화상환자 소독 방법과 감염 관리 핵심 포인트, 그리고 드레싱 및 소독제 선택법까지 실무 중심으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화상환자 감염 위험이 높은 이유피부 장벽 손상 → 세균이 쉽게 침투혈류 증가 → 균 증식 환경 제공체액 손실 → 면역력 저하긴 치료 과정 → 지속적인 의료 처치로 2차 감염 가능성 증가☞ 따라서 소독과 감염관리는 ‘치료의 시작이자 끝’2. 화상환자 소독 방법: 기본 원칙화상 상처 소독은 단순히 상처를 닦는 것이 아니라 감염 예방과 회복 촉진을 동시에 달성하는 핵심 간호 과정손위생: 알코올 .. 2025. 10. 7.
신규간호사 실무 꿀팁 | 중심정맥포트 피부 관리와 감염 예방 완벽 정리 항암 치료나 장기간 정맥영양(TPN)이 필요한 환자에게 많이 사용되는 중심정맥포트(CVP, Central Venous Port).포트 삽입 후 피부 관리와 감염 예방은 간호사의 핵심 역할 중 하나입니다. 처음 접하는 신규간호사라면 드레싱과 피부 관리 과정에서 긴장되기 마련입니다.중심정맥포트 피부 관리 요령을 정리해, 신규간호사들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전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중심정맥포트란?중심정맥포트 관리가 중요한 이유피부 사정: 놓치기 쉬운 부분 확인하기중심정맥포트 드레싱 시 피부 관리 요령중심정맥포트 피부 관리 시 자주 하는 실수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 포인트환자 교육 포인트임상 케이스로 알아보기 중심정맥포트 피부 관리 체크리스트 (신규간호사용) 1. 중심정맥포트란?중심정맥포트는 피부 아.. 2025. 10. 5.
화상 간호 가이드: 깊이별 특징과 Rule of Nine 꿀팁 및 계산 공식 화상 환자 평가가 어려운 신규간호사들을 위해, 깊이별 화상 분류와 Rule of Nine 계산법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으니 함께 알아보겠습니다.1. 화상 간호, 왜 분류와 면적 계산이 중요한가?화상은 단순히 피부에 난 상처가 아니라, 체액 손실·감염·기능 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는 응급질환입니다.응급실이나 병동에서 화상 환자를 만나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화상의 깊이와 범위입니다.이는 단순히 상처를 평가하는 차원을 넘어,수액 요법(Fluid resuscitation)감염 위험도 평가피부 이식(수술) 가능성 여부장기적인 예후 및 재활 계획등 환자의 치료 방향 전체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신규간호사라면 "이 환자는 몇 도 화상인지, Rule of Nine을 적용했을 때 체표면적 몇 %인지"를 빠르게 파악.. 2025. 9. 28.
응급부터 재활까지! 화상 환자 간호 단계별 완전 정리 화상 간호, 단계별 접근이 중요한 이유화상(Burn)은 단순한 피부 손상으로 끝나는 질환이 아닙니다.손상 깊이와 범위에 따라 쇼크, 감염, 대사 이상, 심리적 후유증까지 이어질 수 있어,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 됩니다.따라서 간호사는 화상 환자를 응급기–급성기–재활기라는 흐름 속에서 단계별로 접근해야 합니다.특히 신규간호사는 “언제 무엇을 우선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실제 임상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포인트를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1단계: 화상 초기(응급기, Injury to 48시간)화상 직후 48시간은 환자의 생명이 달린 골든타임.핵심은 기도 확보, 순환 안정, 통증 조절, 감염 최소화1) 기도 유지가 최우선얼굴 화상, 코털 그을림, 쉰 목소리, 기침에 .. 2025. 9. 25.
신규간호사 필독!!! 혈액배양 채혈 요령과 오염률 낮추는 5가지 핵심 포인트 혈액배양(blood culture) 검사는 패혈증, 균혈증 등 전신 감염 의심 환자에서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는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하지만 오염률이 높으면 결과 해석이 왜곡되고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채혈 요령과 오염 방지법을 제대로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2025년 최신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혈액배양 검사 시 채혈 요령과 오염 방지 팁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혈액배양 검사란? 혈액배양은 환자의 혈액을 무균적으로 채취해 배양병에 넣고 미생물의 성장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목적: 원인균 동정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시행 대상: 패혈증, 원인 불명 발열, 심내막염 등특징: 소량의 피부 균만 섞여도 결과가 달라지므로, 모든 과정에서 ‘무균술’이 핵심2. 채혈 전 .. 2025.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