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간경화 환자 복수 사정 및 식이 교육 총정리

by winsome-smile 2025. 7. 29.

복수 관리는 간호의 핵심입니다.

 

간경화 환자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가 복수(ascites)입니다.

복수는 단순한 체액 축적 이상이 아니라, 간 기능 저하와 직결된 중요한 임상 지표입니다.
특히 병동 간호사나 보호자가 복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환자에게 적절한 식이 교육을 시행하는 것은 합병증 예방과 삶의 질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경화 환자의 복수 사정 방법과 간호 포인트, 그리고 실제 병동에서 사용하는 식이 교육 내용까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간경화 환자 복수 사정 및 식이 교육 총정리

1. 복수란 무엇인가요?

간경화에서 복수가 생기는 이유!

복수는 복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고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간경화 환자에서 복수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맥압 상승(portal hypertension): 간 조직이 딱딱해져 혈액 흐름을 방해 → 복강 내 혈관 압력 증가
  • 혈장 단백질(알부민) 감소(hypoalbuminemia): 특히 알부민 저하 → 삼투압 저하로 체액이 혈관 밖으로 누출
  • 림프 순환 장애 및 염분 정체: 전신 수분 불균형 초래 → 복수 악화 

복수는 단순한 부종이 아닌, 간 기능 저하와 직결된 예후 인자입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사정과 체계적인 간호가 필요합니다.

 

2. 복수 사정 시 꼭 확인해야 할 항목 5가지

복수는 눈으로 보이고 손으로 느껴야 합니다.

복수 사정은 시진, 촉진, 타진을 통한 신체사정 중심 평가객관적 수치 확인을 병행해야 합니다.

다음은 병동 간호 시 확인해야 할 핵심 항목입니다.

① 복부 둘레 측정

  • 측정부위: 배꼽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측정
  • 측정 시기: 매일 같은 시간(예: 오전 공복 시), 같은 자세에서 측정 
  • 기록 예시: "복부둘레 87cm, 전일 대비 +2cm"

Tip) 복수 증가 여부는 체중과 복부둘레 변화를 동시에 확인해야 더 정확합니다.

② 체중 변화 체크

  • 급격한 체중 증가는 복수 증가 가능성을 시사
  • 이뇨제 사용 중이라면 탈수, 전해질 이상 여부도 함께 판단
  • 복수로 인해 신기능 저하 시, 소변량 감소
  • 매일 아침 공복 시 체중 체크 권장

③ 복부 팽만감 및 불편감 표현

  • 환자가 복부 압박감, 식욕 저하,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 복수 악화 가능성
  • "복부 팽만감 심해 식사를 절반도 못함" 같은 구체적 표현 파악 필요

④ 복수의 움직임 확인 (fluid wave test)

  •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fluid shift 확인
  • 촉진 시 물결 움직임이 느껴진다면 중등도 이상의 복수 의심
  • 타진 시 shifting dullness: 복수량이 많을수록 둔탁음이 더 넓게 퍼짐

⑤ 초음파 또는 CT 결과 확인

  • 의사의 지시가 있을 경우 영상검사 결과 참조
  • 복수양 증가 여부 또는 간내 종괴 동반 여부 확인

3. 복수 환자 식이 교육,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복수 감소는 식이에서 시작됩니다.

복수 환자의 식이 교육은 단순한 저염식 안내를 넘어, 실행 가능한 수준의 맞춤형 교육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식이 교육 내용입니다.

① 염분 섭취 제한은 기본, 저염식 필수

  • 하루 나트륨 섭취량 2g 이하 권장 (약 5g의 식염)
  • 국물류 제한, 간장·된장 등의 조미료 사용 줄이기
  • 시중 가공식품·김치류·젓갈류는 금지 또는 철저한 물세척 후 섭취
  • 무염 간장이나 저염 조미료 대체 권장

Tip)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저염'의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구체적 설명 필요

② 수분 제한은 상황에 따라 결정

  • 복수만 있는 경우 수분 제한은 보통 권장되지 않음
  • 그러나 저나트륨혈증 동반 시, 하루 1~1.5L 이내로 제한
  • 보호자 교육 시 “갈증 참는 법”과 “얼음조각 활용” 같은 현실적인 팁 제공

③ 단백질 섭취는 너무 적어도, 너무 많아도 위험

  • 간성혼수 위험 없는 경우: 단백질 섭취 권장
  • 동물성보단 식물성 단백질(두부, 콩류) 위주
  • 간성혼수 이력이 있는 경우 단백질 제한식 적용 필요. 그러나 너무 제한하면 근감소증 유발

④ 알부민 주사 중에는 고단백식 권장

  • 알부민 투여 후 단백질 보충이 중요
  • 죽보다는 단단한 형태의 음식(계란, 생선, 두부) 권장
  • 충분한 단백질 섭취 없을 경우 주사 효과도 떨어짐

⑤ 식사 시 포지셔닝도 중요

  • 복수로 인한 압박감이 있을 때는 반좌위에서 소량씩 자주 섭취
  • 식후 바로 눕지 않도록 교육

⑥ 충분한 열량 섭취

  • 간경화 환자는 기초 대사율이 높아짐
  • 소량씩 자주 식사하여 에너지 보충
  • 저녁 간식(늦은 밤 카제인 공급)도 추천됨

⑦ 금주 필수

  • 술은 간세포를 직접적으로 손상
  • “한 잔쯤은 괜찮겠지”는 절대 금물

 

4. 복수 천자 후 간호, 반드시 기억해야 할 3가지

빠질 수 없는 시술 후 관리 포인트

복수가 심해 복수 천자(paracentesis)를 시행한 환자는 시술 후 간호도 중요합니다.

 

- 활력징후 모니터링: 저혈압, 빈맥 여부 확인

- 복부 출혈 또는 누출 여부 확인: 천자 부위 드레싱 확인

- 알부민 투여 시기 확인: 5L 이상 복수 제거 시 알부민 병합 여부 체크

 

5. 환자 교육 시 꼭 알려줘야 할 생활 팁

  • 하루 물 섭취량 조절: 복수가 심한 경우, 수분 섭취도 제한 필요
  • 자기 전 체중 기록: 복수 악화 조기 발견에 도움
  • 복부 팽만감, 호흡 곤란, 부종이 심해지면 즉시 내원
  • 약물(이뇨제) 복용 시 칼륨 보충 여부도 함께 교육
  •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와 복수 초음파 추적

※ 복수 간호, 매일 반복되는 루틴이지만 절대 가볍지 않습니다

간경화 환자의 복수는 질병 악화의 신호일 수 있으며, 정확한 사정과 실질적인 식이 교육은 환자의 예후와 직접 연결됩니다.

간호사는 복부 둘레 측정, 체중 확인, 주관적 불편감 파악 등을 루틴하게 수행하되, 단순한 수치 기록에 그치지 않고 임상 판단까지 연결해야 합니다.

또한 식이 교육은 단편적인 금지식 안내가 아니라, 보호자가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