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중의 기본!!
처음 임상에 나서는 당신이 꼭 알아야 할 Vital Signs(VS) 측정 실전 팁 총정리!!!
1. 활력징후(VS)란? 환자의 상태를 가장 먼저 말해주는 지표
활력징후(Vital Signs, VS)는 환자의 생리적 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병동이나 외래, 중환자실 어디서든 가장 먼저, 가장 자주, 가장 중요하게 측정되는 항목입니다.
< 기본 활력징후 항목 5가지 >
- 체온 (T, Temperature)
- 맥박 (P, Pulse)
- 호흡 (R, Respiration)
- 혈압 (BP, Blood Pressure)
- 산소포화도 (SpO₂, Saturation of Peripheral Oxygen)
실무에서 자주 쓰는 용어: TPR, BP, SPO2 또는 VS으로 축약합니다.
< 활력징후 측정은 왜 중요한가요? >
- 환자의 급성 변화 조기 발견
- 치료 반응 여부 판단
- 중재 전·후 상태 비교 가능
- 환자 안전 확보의 기본
신규간호사에게 VS 측정은 단순한 루틴이 아닌, 환자의 상태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체력입니다.
★ VS 정상범위 정리 (꼭 외우세요!)
항목 | 정상범위(성인 기준) |
체온 | 36.5~37.5℃ |
맥박 | 60~100회/분 |
호흡 | 12~20회/분 |
혈압 | 90/60 ~ 120/80 mmHg |
산소포화도 | ≥ 95% |
Tip: 응급상황 판단 시 기준이 되는 값이므로 반드시 암기해두세요.
2. 활력징후 측정 준비
< 측정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 >
- 장비 이상 유무: 체온계 배터리 상태, 혈압계 커프 손상 여부 등
- 측정 환경: 환자가 안정을 취한 상태인지 확인 (운동 직후 X)
- 기록지 확인: 이전 활력징후와 비교할 수 있도록 사전 데이터 숙지
3 .활력징후 측정 순서와 요령
① 체온 (T)
- 구강 체온계 사용 시: 입술 꼭 다물도록 지도
- 고막 체온계: 귀 안 이물 확인 후 삽입, 고막을 정확히 조준해야 오차 적음
- 전자 체온계 사용 후 소독 잊지 말기!
- 직장 체온: 정상 체온보다 0.5도 높음
- 겨드랑이 체온: 정상 체온보다 0.5도 낮음. 겨드랑이 측정 시 땀 제거 후 체온계를 밀착
② 맥박 (P) : 수치보다 리듬이 중요할 때도 있다!
- 일반적으로 요골동맥에서 측정 (경동맥(Carotid): 의식 저하 시, 대퇴동맥(Femoral): 말초혈류 저하 시)
- 15초 측정 후 ×4 해서 계산 (정상 리듬일 때)
- 불규칙한 경우 반드시 1분 측정 (간호기록에는 수치 + 규칙성 + 강도 함께 기록)
- 약물 복용 후에는 전·후 변화 비교 중요 (예: 베타차단제)
③ 호흡 (R)
- 맥박 재는 척하면서 몰래 측정해야 정확
- 환자가 의식하면 숨을 억지로 고르게 하는 경우 많음
- 1분간 측정 권장
- 깊이(Depth), 규칙성(Rhythm) 까지 관찰
- 잦은 하품, 숨참기, 청색증은 위험 신호!
④ 혈압 (BP) : 커프 위치, 크기, 타이밍이 좌우한다!
- 혈압 커프 사이즈 잘 맞는지 확인 (팔 둘레의 40~50% 넓이, 80% 길이)
- 커프는 심장 높이에서 감아야 함 (팔을 심장 높이에 유지하고, 측정 전 5~10분은 안정)
- 1회 측정으로 끝내지 말고 이상값 나오면 재측정 필수
- 자동혈압계라도 수은혈압계로 수동 이중 체크가 중요할 때 있음
- 한 쪽 혈압만 높게 나올 경우 양팔 측정 필요
⑤ 산소포화도 (SpO₂)
- 손가락 깨끗이 닦고, 네일아트 있는 손 피하기
- 손 차가우면 warming 후 측정
- 동요 적은 손가락으로 측정해야 값 정확
- 말초 순환 저하 환자는 오차 가능성 있음
4. VS 측정 후, 간호기록은 이렇게!
< 좋은 간호기록의 조건 >
- 수치 기록은 기본, 변화 추이와 간호 중재도 함께
- 예) 2025.05.18. 10:00 VS: T 37.2℃, P 88회, R 18회, BP 118/76mmHg, SpO2 98% (평시보다 맥박↑, 침상 안정 유도함)
- 예) “호흡 24회/분, 노력호흡 있음. N/C 2L 적용 중.”
5. 신규간호사 실수 방지 포인트
- 이상 수치는 반드시 보고
- VS 기록 시간과 실제 측정 시간 일치 여부 확인
- 의심되면 다시 측정, 다시 확인!
- VS는 “빨리”보다 “정확히” → 숫자 외우기에 급급하지 말고, 변화를 읽는 눈을 키우는 게 중요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혈압이 너무 다르게 나왔어요. 재측정 해야 하나요?
A. 네, 혈압은 위치, 자세, 감정상태 등 변수에 민감합니다. 이상치가 나오면 다시 측정하고 근거 기록하세요.
Q. 호흡수를 세다 보면 헷갈려요. 팁 있나요?
A. 처음엔 15초 × 4법을 쓰되, 불규칙하면 반드시 1분 측정하세요. 손을 환자의 흉부 위에 올리면 시각적으로 더 정확합니다.
※ 이건 꼭 기억하세요!
- 활력징후는 가장 기본이지만,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
- TPR, BP, SPO2는 정상범위와 기준 외우기
- 무조건 빠르게보다 정확하게 측정
- 기록 시 수치 + 환자 상태 함께 작성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동에서 자주 쓰는 의학 용어와 약어 정리 (4) | 2025.05.23 |
---|---|
병원 환경 적응법: 신규간호사를 위한 병동 생존 스킬 7가지 (2) | 2025.05.22 |
수술 전후 환자 간호, 신규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0) | 2025.05.21 |
수액 준비 헷갈린다면? 신규간호사를 위한 실전 가이드 (0) | 2025.05.20 |
응급상황 대처법: 신규간호사가 바로 써먹는 CPR 기본 매뉴얼 (2) | 2025.05.18 |
투약오류 예방하기: 신규간호사를 위한 실전 약물 관리법 (2) | 2025.05.17 |
입원 환자 초기 사정 시 빠뜨리기 쉬운 항목 (1) | 2025.05.15 |
신규간호사의 감염관리 기본: PPE 착용법과 감염 예방 수칙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