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신규 간호사를 위한 혈액검사 결과 보는 법: 기본 수치 쉽게 정리하기

by winsome-smile 2025. 4. 27.

병동에 첫 발을 들인 신규간호사라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것이 바로 '혈액검사 결과' 입니다.
혈액검사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검사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능력은, 신규간호사가 반드시 갖춰야 할 실무 역량 중 하나입니다.

신규간호사들이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기본 혈액검사 항목과 정상 수치, 그리고 결과를 읽고 보고하는 실전 팁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혈액검사의 기본 개념 먼저 이해하자!

혈액검사는 단순한 수치 확인이 아니라, 환자의 '몸 상태를 읽어내는 과정' 입니다.
검사 전에는 금식 여부나 약물 복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결과를 해석할 때는 환자의 전체적인 임상 상황과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

 

신규간호사 체크 포인트

  • 금식이 필요한 검사(BMP, LFT 등)는 식사 여부 꼭 확인
  • Blood culture 시 혈액 채취 시간, 채취 부위 기록은 기본
  • 검사 결과 지연 시 담당 의료진에 즉시 알리기

2. 신규간호사가 알아야 할 기본 혈액검사 항목

처음에는 모든 검사를 외우려고 애쓰지 말고, 자주 나오는 기본 항목부터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항목

  • CBC (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검사)
  • BMP (Basic Metabolic Panel, 기본 전해질 검사)
  • LFT (Liver Function Test, 간 기능 검사)
  • Coagulation Test (응고 검사: PT, aPTT 등)

이 네 가지만 확실히 이해해도, 대부분의 환자 상태는 기본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신규 간호사를 위한 혈액검사 결과 보는 법: 기본 수치 쉽게 정리하기

 

3. CBC(전혈구검사) 결과 해석하기

 

CBC는 혈액 속 세포들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감염, 빈혈, 출혈 위험 등을 파악할 때 꼭 필요합니다.

항목 정상범위 의미
WBC (백혈구 수) 4,000–10,000/㎣ 감염, 염증 여부
RBC (적혈구 수) 남 4.5–6.0 / 여 4.0–5.5 (×10⁶/㎣) 빈혈, 출혈 여부
Hgb (헤모글로빈) 남 13–17 / 여 12–16 (g/dL) 산소 운반능력
Hct (헤마토크릿) 남 40–50% / 여 35–45% 적혈구 용적률
PLT (혈소판 수) 150,000–400,000/㎣ 출혈 위험, 혈전 형성

 

* 보고해야 할 상황

  • WBC 15,000 이상: 심한 감염 의심 → 즉시 보고
  • Hgb 7g/dL 이하: 수혈 필요 가능성 → 의료진에게 알리기
  • PLT 50,000/㎣ 이하: 출혈성 질환 위험 → 주의 깊게 관찰 및 보고

≫ 실전 꿀팁
인계 시에는 "WBC 상승하여 항생제 조정 예정"처럼 요점만 간단 명료하게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4. BMP(기본 전해질 검사) 결과 읽기

BMP는 전해질 상태와 신장 기능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항목 정상범위 의미
Na (나트륨) 135–145 mEq/L 체액 균형
K (칼륨) 3.5–5.0 mEq/L 심장 전도, 신경전달
Cl (염소) 98–106 mEq/L 산-염기 균형
BUN 7–20 mg/dL 신장기능 지표
Creatinine 남 0.7–1.3 / 여 0.5–1.1 mg/dL 신장기능 평가
Glucose (혈당) 70–110 mg/dL 혈당 상태

 

* 보고해야 할 상황

  • K 2.5mEq/L 이하 또는 6.0mEq/L 이상: 심정지 위험!! 심전도 모니터링 병행, 즉시 보고
  • Na 120mEq/L 이하: 의식 저하 가능성 → 빠른 대처 필요

  실전 꿀팁
칼륨 수치 이상은 반드시 심전도(ECG) 변화도 함께 체크하고 보고해야 합니다.

5. LFT(간 기능 검사) 기본 수치 이해하기

간 상태를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약물성 간염, 급성 간질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목 정상범위  의미
AST 10–40 IU/L 간세포 손상
ALT 7–56 IU/L 간 손상 민감도 높음
ALP 44–147 IU/L 담도계 문제 지표
Total Bilirubin 0.1–1.2 mg/dL 간 대사 기능

 

* 보고해야 할 상황

  • ALT 300 IU/L 이상: 심각한 간 손상 의심 → 약물 복용 여부 확인 후 보고
  • Total Bilirubin 3mg/dL 이상: 황달 증상 동반 여부 체크

실전 꿀팁
간수치 상승 시 복용 중인 약물 리스트도 함께 정리해서 보고하면 의료진 신뢰도 UP!

6. Coagulation Test(응고 검사) 빠르게 해석하기

출혈 위험이나 항응고제 치료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항목 정상범위 의미
PT 11–13.5초 외인성 응고경로
INR 0.8–1.2 와파린 치료 모니터링
aPTT 25–35초 내인성 응고경로

 

* 보고해야 할 상황

  • INR 3.0 이상: 출혈 위험 → 항응고제 조절 필요
  • aPTT 70초 이상: 내출혈 가능성 → 신속 보고 및 조치

실전 꿀팁
항응고제 복용 환자는 매일 PT/INR 수치 모니터링이 기본입니다.

 

< 혈액검사 결과 해석 실전 노하우 >

  • 단일 수치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전체 검사와 환자 상태를 함께 보세요.
  • 기저질환(만성질환 환자) 고려해서 해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비정상 결과 발견 시 "발견시간"과 "보고시간"을 차트에 정확히 기록해야 합니다.

혈액검사 결과 해석 능력은 신규간호사의 '성장 포인트'

 

혈액검사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은 신규간호사가 병동에서 신뢰받는 간호사로 성장하는 첫걸음입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수치 하나하나가 환자의 몸 상태를 말해주는 신호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환자의 실제 상태와 연결 지어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면, 어느새 자연스럽게 읽어낼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