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급성신부전 환자 수분균형 사정,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

by winsome-smile 2025. 8. 27.

급성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 환자를 간호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수분균형(water balance) 사정입니다. 신장은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기관이기 때문에,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면 체내 수분 상태를 정밀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급성신부전 환자 간호 시 수분균형 사정의 핵심 포인트와 실무 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급성신부전 환자 수분균형 사정,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

 

1. 급성신부전에서 수분균형 사정이 중요한 이유

신장은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그러나 급성신부전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소변량 감소(oliguria, anuria) → 체액 과다, 폐부종 위험
  • 전해질 불균형 →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 체중 증가 → 숨찬 증상(호흡곤란), 혈압 상승
  • 혈액 내 요독 증가 → 피로감, 의식 저하

따라서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I/O)을 정확히 사정하는 것이 치료와 간호의 핵심입니다.

2. 수분균형 사정을 위한 주요 항목

1) 체중 측정: 수분균형의 가장 객관적인 지표

  •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조건에서 측정이 기본 
  • 급성신부전 환자는 하루에도 1kg 체중 증가 = 약 1L 체액 저류로 간주
  • 특히 부종이 눈에 잘 띄지 않는 초기 단계에서는 체중 변화가 가장 정확한 지표가 됩니다.

2) 섭취량과 배설량(I&O Balance) 정확히 기록

  • 섭취량(Intake): 경구 수분, 수액, 약물 희석액, 영양제 등 모든 수분 섭취량 포함
  • 배설량(Output): 소변, 배액관(drain), 구토물, 설사, 투석 초여과액 등을 기록
  • 특히 급성신부전 환자는 소변량이 줄기 때문에, 시간당 소변량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상 소변량: 0.5 mL/kg/hr 이상
- oliguria: 400mL/일 이하
- anuria: 100mL/일 이하

3) 부종(edema) 관찰

체액 과다는 흔히 말초 부종으로 나타납니다.

  • 눈 주위(periorbital edema)
  • 하지 (pitting edema)
  • 천골부 부종(와상 환자에게 흔함)

간호사는 손가락으로 눌러 함몰 지속 시간을 확인하고, 부종의 정도를 기록해야 합니다.

Tip) 와상 환자는 하지를 잘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천골부나 발등 부위를 반드시 체크하세요.

4) 호흡 상태와 폐음 청진

체액 과다가 진행되면 가장 위험한 합병증 중 하나가 폐부종입니다.

  • 환자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기좌호흡(orthopnea), 거품 섞인 가래 호소
  • 청진 시 crackles(수포음) 이 들리면 즉시 보고해야 합니다.

Tip) 이때 빠른 투석 여부 결정이나 이뇨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초기 징후 발견이 생명과 직결됩니다.

 

5) 활력징후(Vital signs)와 혈액검사

  • 혈압: 체액 과다 시 고혈압, 체액 부족 시 저혈압
  • 맥박: 빈맥은 탈수 또는 저혈량 가능성
  • 호흡수: 호흡곤란 여부 판단
  • 체온: 감염 동반 여부 확인 
  • 혈액검사: BUN, Creatinine, Na⁺, K⁺, Cl⁻ 등을 확인해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파악합니다.

6) 환자 교육: 보호자와 함께 하는 수분 관리

간호사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도 수분균형 중요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 물 섭취 제한이 있는 경우, 컵 크기를 조절하거나 얼음 조각을 활용하도록 교육합니다.
  • 소변량, 체중, 부종 변화를 보호자도 관찰해 기록할 수 있게 합니다.

이렇게 하면 환자 자가간호(Self-care) 능력을 높이고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3. 급성신부전 환자 수분균형 관리 간호중재

1) 수분섭취 제한

- 환자의 상태와 소변량에 맞춰 의사가 처방한 제한량을 지켜야 함

- 얼음 조각, 구강 세척으로 갈증 완화

2) 정확한 I/O 측정

- 배설량이 적으면 즉시 보고

- 도뇨관 유지 시 무균적 관리로 감염 예방

3) 매일 체중 기록

-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환자 상태와 연계해 해석

4) 전해질 균형 모니터링

- 고칼륨혈증은 심정지 위험 → 심전도 모니터링 필수

- 필요 시 칼륨 제한 식이, 약물 투여

5) 호흡상태 사정

- 폐부종 증상(호흡곤란, 수포음) 발견 시 즉시 의료진 보고

 

4. 신규 간호사를 위한 실무 팁

  • I/O 기록은 단순히 ‘숫자 채우기’가 아니라 환자 생명과 직결되는 자료
  •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 측정하는 습관을 들이면 추적 관찰이 용이
  • 환자나 보호자에게 수분 제한 이유와 방법을 설명해야 협조가 잘 이루어짐

급성신부전 환자의 간호에서 수분균형 사정은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I/O 기록, 체중, 활력징후, 신체검진,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야 하며, 이를 통해 수분 과다나 탈수, 전해질 불균형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신규 간호사라면 단순히 수치를 기록하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환자의 임상 증상과 연결지어 해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